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투자계좌(IMA), 예금과 투자의 경계를 허물다

by ribbittibbir 2025. 4. 14.

예금과 투자의 경계

 

 

최근 금융 시장에서 'IMA'라는 새로운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바로 종합투자계좌(IMA, Individual Money Account) 제도인데요.
이 상품은 예금처럼 안정적인 운용을 기대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중위험·중수익형 간접투자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과연 IMA는 어떤 제도이며,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IMA, 왜 주목받고 있을까?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IMA 제도는 기존의 예·적금, 펀드와는 다른 새로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예금처럼 자금을 맡기지만, 증권사가 그 돈을 운용해서 수익을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여기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 원금 보장 아님: 은행 예금과 달리 예금자 보호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운용 책임은 증권사: 증권사가 직접 운용하며, 성과에 따라 수익이 달라집니다.
  • 중도 해지 시 손실 가능: 중도 해지하면 투자 성과에 따라 원금 손실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히 이자를 받는 개념이 아니라, 실제 금융상품에 투자된 결과로 수익을 받는 구조입니다.


IMA 구조, 어떻게 구성되나?

IMA 구조, 어떻게 구성되나

IMA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자는 증권사에 자금을 예치합니다.
  2. 증권사는 이를 펀드, 채권, 벤처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합니다.
  3. 일정 기간 후 원금과 수익을 투자자에게 지급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증권사가 원금과 수익을 지급해야 한다는 책임이 있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증권사는 사전에 손실충당금을 쌓아두는 등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IMA의 기대 수익률은?

공식적으로 IMA의 수익률은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금융당국과 증권사 간의 논의에서는 연 3~8% 수준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시중은행의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률이며, 일부 펀드와도 견줄 수 있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익률은 확정이 아닌 목표치입니다.
  • 운용 성과에 따라 수익은 변동됩니다.
  • 투자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성과 차이가 큽니다.

따라서 무조건 고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자산 운용 수단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현실적입니다.


투자 대상과 비중은?

 

IMA는 단순히 국공채나 안정적인 자산만이 아닌, **모험자본(스타트업, 벤처기업 등)**에도 일정 비율 이상 투자해야 합니다.
이는 정부가 실물경제로의 자금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적 설계입니다.

또한 부동산 자산에 대한 투자는 전체의 10% 이내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런 규제는 자산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어떤 증권사가 취급할까?

어떤 증권사가 취급할까?

현재는 자기자본이 3조 원 이상인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즉 대형 증권사만 IMA 상품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장치로, 향후 제도가 안정화되면 더 많은 증권사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장점과 단점 한눈에 보기

장점

  •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 가능성
  •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
  • 증권사 운용책임으로 투자자 부담 감소
  • 장기투자 유도

단점

  • 원금 비보장, 손실 가능
  • 중도해지 시 불이익
  • 상품 구조에 대한 이해 필요
  • 투자자 보호 장치는 아직 제한적

이런 분들께 적합합니다

  • 예금만으로 자산 증식이 어려운 분
  • 펀드는 부담스럽지만 어느 정도 수익은 기대하는 분
  • 금융상품 다양화를 원하는 투자자
  • 장기적인 자산 운용 전략을 구상 중인 분

단, 단기 수익만을 추구하거나 원금 손실에 민감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MA는 또 하나의 선택지

IMA는 또 하나의 선택지

종합투자계좌(IMA)는 예금과 펀드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새로운 투자 수단입니다.
증권사가 운용 책임을 지는 만큼 투자자 입장에서는 비교적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원금 손실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은 명확히 인지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새로운 금융 환경 속에서 수익성과 안정성을 모두 고려한 투자 대안을 찾고 있다면,
IMA는 한 번쯤 진지하게 검토해 볼 만한 선택지입니다.